1. 왜 <백치>인가
일반적인 의미의 '백치'는 이 소설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순수하고 깨끗한 어린아이 같은 '공작'이 나올 뿐이다. 백치처럼 순수한 공작이 러시아 상류사회 한복판에서 겪는 애정과 금전, 명예에 관한 혼란을 그리고 있다. 러시아어로 수도승을 의미하는 '유로지비'라는 말이 있다. 세속적인 미치광이 행세를 하면서 금욕적인 생활을 하는 수도자나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백치이면서도 예언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었으며, '바보 성자'라고도 했다. <백치>의 주인공인 '공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2. 러시아를 대표하는 인간 군상
'공작'을 제외한 수많은 등장인물은 모두 러시아의 민낯을 상징한다. 혁명 직후의 러시아는 급작스레 성장한 시민계급, 금전주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허무주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혼란 사회였다. 자존심 그 자체인 '나스타샤', 과거의 영화에 매달려있는 은퇴군인 '이볼긴', 자존심과 금전 사이에서 갈등하는 '가브릴라', 논리적 허무주의에 휩싸인 시한부 '이뽈리드'까지. 모두가 일반적이면서도 각각 러시아의 한 모습들을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정상적이지 않은 이 인물들 사이에서 '공작'은 다시 백치가 되어간다.
3. 줄거리
1부는 나스타샤의 이야기다. 나스타샤는 <백치>에서 가장 중요한 여인으로 아름다운 창녀다. 로고진과 가브릴라의 마음을 훔치고는 그들을 조롱한다. 공작을 사랑하지만, 자신의 신분이 공작을 파멸시킬 것이라 생각하고 오히려 잔인하게 그들을 대한다. 결국 모든 관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로고진이 바친 10만 루블을 불속에 넣고 가브릴라를 조롱한다. 로고진과 함께 모스크바로 떠난다.
2부는 부르도프스키와 이뽈리드가 등장한다. 1부까지의 공작이 순수한 어린아이 같았다면 2부에서는 각 사건의 이해관계자로 등장한다. 처음 공작의 순수함에 가까워졌던 인물들이 공작을 혼란에 빠뜨린다. 특히 공작의 후원자였던 P의 아들 부르도프스키의 등장으로 공작의 도덕성이 위협 받는다.
마지막 3부에서는 이뽈리드가 자살 소동을 벌이고, 이볼긴 장군은 치매에 걸린다. 로고진은 결국 나스타샤를 살해하고 공작은 다시 '백치'가 된다.
4. 더듬 더듬, 관념의 산책
읽는 게 쉽지만은 않다. 일단 러시아 특유의 길고 긴 이름이 상당한 장애가 된다. 여기에 도스토예프스키의 특징인 확장성이 결합되면 메인 이야기를 따라 잡는게 어렵다. 상당히 집중해서 읽어야 흐름을 놓치지 않고 중요한 것과 부속 이야기가 구분이 된다. 일종의 연극 시나리오처럼. 실제로 극적인 장면들은 모두 연극의 한 무대처럼 감정이 과잉된 상태에서 과장된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백치>는 스토리 라인을 따라가는 소설 보다 관념의 이동, 관념과 관념 사이의 방황 같은 글이다. 글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중에 하나가 니힐리스트다. 투덜거리는 허무주의자 정도가 적당한 느낌인데, 극중 많은 젊은이들이 니힐리스트이다. 기성세대라 할 수 있는 이볼긴 장군, 구세대의 산물인 나스따샤 같은 이들 사이에서 결국 가치관이 침몰해 버리고 독설만 남은 이뽈리드가 탄생하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공작'이라는 존재를 통해서 융합과 화해라는 실험을 시도 했지만 결과는 모두가 아는 바와 같다. '공작'은 백치가 되었고 실험은 실패했다.
'열수레의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 - 달라이 라마, 빅터 챈] 티벳의 마지막 달라이 라마의 가르침 (0) | 2016.05.23 |
---|---|
[마지막 리허설 - 시드니 셀던] 시드니 셀던 판 '광해' (0) | 2016.05.18 |
[객수산록- 김원우] 보기 불편한 '근대'의 모습 (0) | 2016.05.01 |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며 화내는 방법- 움베르토 에코] 세상을 올바르게 바라보는 삐딱한 시선 (0) | 2016.04.17 |
[로즈메리의 아기 - 아이라 레빈] 오, 내 아기! (0) | 2016.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