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삼매경

[프리즌] 약간의 어정쩡함이 전체를 흔드는

슬슬살살 2017. 6. 26. 11:50

오로지 김래원, <해바라기>에서 강렬한 느낌을 줬던 김래원을 다시 보고 싶었다. 조금 멍청해 보이는 눈매를 가진 양아치가 주는 매력이 주는 여운이 길다. 유난히 조폭과 경찰 역할을 잘 해내는 김래원이고, 감옥 안에서 벌어지는 범죄물이라는 것도 재밌는 포인트. 결과도 나쁘지 않았지만 한석규, 김래원이 캐리한 영화라고 하기에는 아쉬움도 많다. 연기야 두말할 나위도 없지만 구성이 문제였다. 먼저, 감옥 안에서 범죄의 제왕으로 군림하는 익호(한석규)와 범죄를 캐내기 위해 잠입한 형사 송유건(김래원)이라는 대립은 좀 구태의연했다. 특별할 것 없는 소재를 배우들만 믿고 안일하게 다뤘다. 한석규의 '악행'을 드러내는 장면들, 유건에 얽힌 액션들은 충분히 역동적으로 잘 드러냈지만 전체를 아우르는 힘이 부족했다. 


가령, 익호의 정체성을 관객이 알게 되는 시점이 너무 늦다. 한석규라는 배우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선한 이미지가 있다. 이걸 빨리 깨트렸어야 보다 송유근에 몰입할텐데 중반까지 '나쁘지만 속은 착할지도 몰라', '어떤 사연이 있을꺼야'라고 생각하게 된다. 좀 더 나아가면 '실제로는 파리 하나 못죽이는 놈 아닐까'라는 추측까지 하게 되는데 이런 요소들이 결과적으로 방해가 된다. 똑같은 구성이라도 박성웅과 같이 악역 이미지가 굳어진 배우라면 다른 결과물을 냈을 거라는 얘기다. 메인 빌런에 대한 확신이 중반까지 나타나지 않으니 반대편에 서 있는 김래원에 대한 몰입은 후순위가 되어 버렸다. 영화 중후반부 재소자의 눈을 숟가락으로 파는 장면을 기준으로 관객의 선입견과 이미지가 뒤흔들리는데 너무 늦은 시점이다. 이 때문에 영화의 앞, 뒤는 괜찮은데 중반이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차라리 유건에게 회를 사주거나 하는 따위의 인간미를 완전히 버렸으면 어땠을까.



게다가 유건이 의도를 가지고 고의로 잠입했을거라는 평이한 추측이 확정되는 순간, 급격하게 고전적인 한국영화가 되어버린다. 유건은 고난 끝에 익호를 공략할 것이고 적당한 수준에서 이성을 찾고 그만 둘테니. 징벌은 공권력의 몫이다. 영화 내내 기능하지 못한 사악한 공권력이 이제와서 영화의 마무리를 짓는게 개운하지 못하다. 


현실과의 괴리가 너무 큰 것도 발목을 잡는다.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공공의 적>은 소설 <인간시장>의 영화판이다. '현실을 과장한 후에 히어로가 징벌한다'라는 개념인데, <프리즌>의 현실은 과장의 수준이 아니다. 완전히 멕시코나 베네수엘라 수준의 현시창인데, 공감하기 쉽지 않다. 영화를 보면서 리얼리티를 따지는게 무의미하다는 건 알지만 '악'은 비현실적인 세계를 만들어 놓고 '선'은 현실 수준에 묶어 놓다보니 매듭이 연약하다. 일례로 <조작된 도시>는 완전히 재창조된 세계 내에서의 대결을 펼치다 보니 위화감이 들지 않는다. 교도소장과 수많은 정부인사들이 궂이 감옥 안의 인물에게 사건을 의뢰한다는 건 '알리바이'하나로 치부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연출기법은 화려해지고 돈은 돈대로 들어갔지만 <해바라기>만도 못한 수준이 되어버렸다. 감독을 탓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