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dge
옆구리를 쿡 찌른다는 뜻.. 이 블로그가 아니더라도 수많은 곳에서 소개가 됐었고
지난 한해 엄청난 인기를 누린 책이기도 합니다.
책 겉 표지에는 '상식의 옆구리를 찌르는 경제학의 유혹'이라 소개되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왜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는지 이해를 할 수 없습니다.
물론 강제적인, 혹은 방관적인 태도보다 넛지의 효과가 위대하다는 사실은 이 책에서 내놓는 수많은 예시들에 의해 이해되지만
이 책이 들고 있는 수많은 예시중 실제로 두가지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
서문에 나오는 음식의 배치로 음식을 먹는 소비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라는 예시와
이 사진 처럼 파리로 소변기에 물을 튀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점.
423쪽에 걸친 예시들은 디폴트값의 결정과 쉬운 결정값 등 몇 안되는 키워드를 경제학자 답게 아~주 지루하게 늘어 놓은 것 같습니다.
- 이 점은 지은이인 탈러도 인정했습니다. 경제학과 3명이 모인 파티는 망칠확률이 높다는 군요.. 본문에서 -
논문에 가까울 정도로 세밀하고 구체적인 예시 (그러나 한국에만 산 나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정책 예시)는
우리나라에 사는 경제학에 문외한인 나로서는 버거웠습니다.
특히 같은 얘기의 반복이 너무 많아요 ..
한가지 의문점은 이 책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단 얘기는..
다른 사람들은 이걸 오롯이 이해했단 말인가? 난 지금까지 이해를 못하겠는데...헐
왠지 코끼리 그림과 깔끔한 디자인, 그리고 넛지라는 있어보이는 이름으로 많이 팔아먹은 듯 하단 말이지 ㅋㅋ
|
'열수레의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나리자 모차르트를 만나다] 클래식(?), 미술(?) 별거 아니네.. (0) | 2010.08.31 |
---|---|
[동정없는 세상] 한번 하는(?)것이 인생의 목표인 어느 고등학생 이야기 (0) | 2010.08.24 |
[하우스 푸어] 비싼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0) | 2010.08.07 |
[바리데기] 베니스의 개성상인은 유럽가서 성공했다지만..바리는? (0) | 2010.08.04 |
[적] 거짓말을 되담기 위해 가족을 파멸시킨 남자 이야기 (0) | 2010.08.04 |